턱관절 클리닉
턱에서 소리가 나거나 입이 안 벌어지거나 안 다물어지는 경우라면 턱관절 이상입니다.
최근 급증하고 있는 턱관절 질환을 보존적 치료 혹은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외과적 치료를 통해 정상적으로 회복시킬 수 있습니다.
턱관절 장애는 무엇인가요?
턱관절이란 턱뼈와 머리뼈를 이어주는 관절입니다. 이런 턱관절과 얼굴 근육에 구조적, 기능적 장애가 생긴 것을 턱관절장애라고 합니다.
턱관절 장애의 증상은?
턱을 움직일 때 귀 근처, 뺨, 관자놀이 등에 통증과 소리가 난다.
입을 벌리거나 다물기가 힘들다.
턱이나 안면 통증뿐 아니라, 두통이나 목, 어깨 부위의 통증을 동반합니다. 귀가 아프거나, 이명 등이 있다.
턱관절 장애가 있는 경우 치료 방법과 치료 기간은 어떻게 되나요?
보존적 치료법으로는 약물 치료, 물리 치료, 운동 처방, 교합장치, 행동 요법 등이 있으며,
물리치료로는 온습포, 초음파, 경피성 전기신경자극, 전기침 자극, 레이저 치료 등이 있습니다.
교합장치를 입안에 장착하게 되면 턱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여 주어 상처 받은 부위의 치유를 촉진하고, 근육 긴장을 풀어주며, 이갈이와 같은 나쁜 습관으로부터 치아, 관절, 근육을 보호해 줄 수 있습니다.
<교합 안정장치 - 보통 윗니에만 장착합니다.> <교합 안정 장치를 구강내에 장착한 모습
- 의사 지시에 따라 입안에 정착하고 지내게 됩니다.>
경미한 경우에는 환자교육과 몇 차례의 물리치료만으로도 회복하는 경우가 있지만, 종종 턱관절 장애는 손상된 조직의 회복과 재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장기간의 시간이 필요하며 이런 경우 일반적으로 1-4주 간격으로 내원하여 약 6개월에서 1년 정도의 시간을 요구하기도 합니다. 보존적 치료가 효과가 없는 경우 관절경을 이용한 외과적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박혜지 교수(강동경희대학교치과병원 구강내과)
턱관절에 염증이 생기거나 탈구가 있어 통증이 심하고 입을 벌리는 것이 힘들어지는 상태를 턱관절장애라고 한다. 턱은 음식을 먹고, 말을 하는 일상생활을 유지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구조물인데, 이러한 턱에 문제가 생겨 치과를 찾는 사람들은 의외로 많다.
보통 턱에 문제가 생겼다고 하면 자동차 사고나 턱 부위의 직접적인 충격 같은 외상을 생각하기 쉽지만 턱에 관련된 장애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그중 가장 흔한 것은 잘못된 저작습관과 불균형한 자세다.
음식 먹거나 말할 때 통증 생기는 턱관절장애
턱관절은 아래턱뼈와 머리뼈 그 사이의 관절원판이 있고, 인대와 근육이 그 주변을 둘러쌓는 구조이다. 턱관절장애는 이러한 턱관절에 염증이 생기거나 아래턱 뼈 구조물중 하나인 하악과두의 탈구 등으로 인해 통증이 생기는 증상을 말한다.
보통 음식을 씹거나 말을 할 때 통증이 미세하게 시작되며, 입을 크게 벌리거나 딱딱한 음식을 먹을 때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된다. 통증은 일반적으로 턱이나 귀, 머리나 얼굴 부위에서 나타나며, 증상이 심해지면 치아의 맞물림이 틀어지고 안면비대칭을 야기할 수 있으며, 입을 끝까지 못 벌리는 개구제한 상태가 지속되며, 턱을 움직일 때 모래 갈리는 소리가 나타나기도 한다.
턱관절장애로 병원을 찾는 환자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턱관절장애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최근 5년 사이에 17%가량 늘어났다.(2015년 357,877명→2019년 418,904명)
2019년 자료를 보면 20-30대 환자가 43%로 가장 많았고, 여성이 남성 환자에 비해 1.5배 더 많았다. 20-30대 젊은 환자의 경우 저작근의 근력이 높아 턱관절에 하중에 더 많이 받고, 취업 및 직장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잘못된 저작습관과 자세 불균형이 주요 원인
턱관절 장애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턱관절 장애로 진료실에 찾아오는 가장 많은 환자는 자세 불균형이나 구강의 이상기능습관이 원인인데, 음식물을 씹는 기관에 몸에 해로운 부하가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가해져서다.
이를테면 이 악물기, 이갈이, 입술 깨물기, 턱의 이상 자세 등으로 이러한 이상기능습관은 사실 매우 흔하다. 대개는 턱관절 증상을 일으키지 않지만 어떤 사람들에게선 이런 이상기능습관의 누적이 유발요인과 지속요인으로 작용 되어 턱관절 장애의 원인이 된다.
실제로 거북목 상태에서 작업한다든가, 수화기를 어깨에 받히고 전화하는 자세 같은 습관들이 근육과 관절에 외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두통 등 턱관절 장애 환자에서 볼 수 있는 근골격성 통증을 유발한다.
증상 방치하면 퇴행성관절염 유발
장기간 턱관절 장애를 방치하면 턱관절 퇴행성관절염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 또 뼈의 구조적 변화를 초래하면서 부정교합이나 안면 비대칭의 문제도 생길 수 있다. 두통이나 이명, 신경통 등의 증상도 많이 호소한다. 심한 경우 신체 다른 부위의 통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오래 방치할수록 치료가 잘되지 않는 만성상태로 이환되기 때문에 되도록 빨리 치료를 받아야 한다.
턱관절장애로 진단되면 비수술적인 치료를 우선적으로 진행하게 된다. 교합안정장치치료, 물리치료, 보톡스치료, 운동요법, 약물요법 등을 선택적으로 시행한다. 환자의 상태를 정확하게 진단‧평가한 후에 치료법을 선택하게 되는데 원인이 매우 다양한 만큼 구강내과 전문의의 판단이 매우 중요하다.
초기라면 딱딱하거나 질긴 음식 섭취, 음식 한쪽으로만 씹기, 이 꽉 물기 등 나쁜 습관을 먼저 교정하도록 교육한다. 6개월이 지나도록 증상을 방치하면 치료는 복잡해지고, 호전 양상이 느려 치료기간이 길어진다.
□ 턱관절 장애 의심 증상(※하나 이상 해당하면 턱관절 장애 의심)
– 하품하거나 입을 크게 벌릴 때, 귀 앞부분이 아프거나 입을 벌리기 힘들다.
– 턱이 빠져서 입이 안 다물어진 적이 있다.
– 입을 벌릴 때마다 무언가에 걸리는 느낌이 들고, 입도 잘 안 벌어진다.
– 음식을 먹을 때나 노래하려고 크게 벌리면 턱이 불편하고 아프다.
– 입을 크게 벌리고 다물 때 귀 근처에서 소리가 난다.
저작권자 © 덴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