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생명 공학 정책 연구 센터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https://toplist.pilgrimjournalist.com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생명 공학 정책 연구 센터 BioIN, 생명공학연구원,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마이크로바이옴, 한국바이오협회, 생명과학 최신 연구 동향,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글로벌 제약산업 현황 및 전망, BioINwatch
Table of Contents
BioIN(바이오인)
- Article author: www.bioin.or.kr
- Reviews from users: 10755 Ratings
- Top rated: 4.3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BioIN(바이오인) BioINdustry 2022년 글로벌 의료기기 산업 전망 [BiolNdustry No.171] 2022년 글로벌 의료기기 산업 전망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 김무웅※본 보고서는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BioIN(바이오인) BioINdustry 2022년 글로벌 의료기기 산업 전망 [BiolNdustry No.171] 2022년 글로벌 의료기기 산업 전망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 김무웅※본 보고서는 …
- Table of Contents:
김흥열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 – 국가 바이오정책 디지털 플랫폼구축, 바이오 경제 앞당기는 초석이 될 것 – 월간인물
- Article author: www.monthlypeople.com
- Reviews from users: 6849 Ratings
- Top rated: 4.1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김흥열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 – 국가 바이오정책 디지털 플랫폼구축, 바이오 경제 앞당기는 초석이 될 것 – 월간인물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생명공학 정책 씽크탱크(Think tank)’로, 국내외 생명공학 동향·이슈를 모니터링·분석하고 관련분야 산·연 전문가들과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김흥열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 – 국가 바이오정책 디지털 플랫폼구축, 바이오 경제 앞당기는 초석이 될 것 – 월간인물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생명공학 정책 씽크탱크(Think tank)’로, 국내외 생명공학 동향·이슈를 모니터링·분석하고 관련분야 산·연 전문가들과 …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생명공학 정책 씽크탱크(Think tank)’로, 국내외 생명공학 동향·이슈를 모니터링·분석하고 관련분야 산·연 전문가들과 함께 정부를 도와 정책 아젠다 개발을 지원하고, 수립된 정책들을 국민에게 널리 알리는 홍보 역할을 하고 있다. 2004년 처음 생명(연) 내 연구사업 조직으로 탄생해, 2021년 2월 새롭게 개정된 생명공학육성법 제24조에 근거 “생명공학 정책의 수립·조정 및 기술개발·활용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정책 전문기관으로 지정됨으로써 새로운 위상을 갖게 되었다. 김흥열 센터장은 “무엇보다도국가생명공학센터,김흥열센터장,바이오파운드리,바이오혁신연계서비스,바이오특집,월간인물인터뷰
- Table of Contents:
생명과학산업의 시장 동향과 규제 전망 < 발간보고서<자료실-제약산업정보포털
- Article author: www.khidi.or.kr
- Reviews from users: 27385 Ratings
- Top rated: 3.3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생명과학산업의 시장 동향과 규제 전망 < 발간보고서<자료실-제약산업정보포털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구성. □ 체외진단기기와 연구장비(IVD and Research tools) 시장 역시 2022년 각각 약 0.96조 달러, 약 0.31조 달러로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생명과학산업의 시장 동향과 규제 전망 < 발간보고서<자료실-제약산업정보포털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구성. □ 체외진단기기와 연구장비(IVD and Research tools) 시장 역시 2022년 각각 약 0.96조 달러, 약 0.31조 달러로 ... 제약산업정보포털, 제약글로벌, 전문가 컨설팅한국보건산업진흥원
- Table of Contents:
인기검색어 TOP 10
전체메뉴
자료실
관련기관 배너모음
[보고서]생명공학정책연구기반사업
- Article author: scienceon.kisti.re.kr
- Reviews from users: 26500 Ratings
- Top rated: 3.8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보고서]생명공학정책연구기반사업 과제명, 생명공학정책연구기반사업. 주관연구기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연구책임자, 현병환.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보고서]생명공학정책연구기반사업 과제명, 생명공학정책연구기반사업. 주관연구기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orea Research Institut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연구책임자, 현병환. ${\circ}$ BT정책 Portal 구축 운영- 국내외 BT 기술, 정책, 산업, 제도 동향정보 모니터링 및 분석을 통한 기초자료 제공${\bullet}$ BT핵심기술, 최신 산업정보, 제도동향 등 동향보고서 총 17건 발간${\bullet}$ 포탈운영과 datamonitor 등 저명한 분석 기관과의 협력으로 총 45,000여건 BT자료 보유- 국가 정책에 대한 종합정보지 발간을 통한 대국민 이해증진, 국제적 홍보 추진${\bullet}$ 2005년 생명공학백서, 국가생명공학영문가이드북(국 영문) 등 BT 종합 정보지 총 3건 발간${\circ}$ BT 통계개발 및 정보분석- BT 기술 표준 분류를 지원하고 기초통계의 체계적 분류 및 보급 추진${\bullet}$ BT 통계 정보 수집 및 분류로 체계화된 기존 통계자료 모음집 발간(`06.2)보급 및 제2차 생명공학기본계획에 근거한 핵심 기초통계 개발 및 수정 보완을 위한 전수조사 준비- 정보분석 (Patent map, 서지 논문, 시장성 분석)으로 BT 분야 국가 전략적 육성 핵심기술에 대한 방향 제시${\bullet}$ 대형국책과제를 중심으로 20건 특허맵(논문, 시장성 분석 포함) 보고서 발간${\circ}$ BT 전문가 Network 구축 지원- BT 전문가 Network 구축 및 운영을 통한 정책커뮤니티 활성화로 정책수립을 상시 지원할 수 있는 전문인력 Pool 구축${\bullet}$ 생명공학연구협의회, 운영위원회, BT 정책 기획 전문가 회의 및 BT 전문가 중심의 주요 현안 토론회 등 총 11회 개최${\circ}$ 정부의 BT관련 육성정책 수립 지원- 정책수립의 기초자료인 통계, 동향, 특허맵 등을 통한 정책수립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자료 제공- 생명공학의 기본계획 및 시행계획, 범부처 신약개발 효율화, 뇌연구촉진기본계획 등 국가의 전략적 육성 정책수립을 위한 상시 지원
- Table of Contents:
생명공학정책연구기반사업
상세정보조회
원문조회
생명 공학 정책 연구 센터
- Article author: www.yakup.com
- Reviews from users: 18249 Ratings
- Top rated: 4.4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생명 공학 정책 연구 센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바이오기술혁신과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상시 국민소통창구인 ‘바이오 규제 신문고’를 2월 13일부터 운영한다. 제안 범위는 연구단계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생명 공학 정책 연구 센터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바이오기술혁신과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상시 국민소통창구인 ‘바이오 규제 신문고’를 2월 13일부터 운영한다. 제안 범위는 연구단계 …
- Table of Contents: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22년 하반기 채용 | 기업리뷰 3건, 연봉정보 2건, 면접후기 0건, 복지정보 0건, 채용공고 0건 | 잡플래닛
- Article author: www.jobplanet.co.kr
- Reviews from users: 27094 Ratings
- Top rated: 3.4
- Lowest rated: 1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22년 하반기 채용 | 기업리뷰 3건, 연봉정보 2건, 면접후기 0건, 복지정보 0건, 채용공고 0건 | 잡플래닛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기업정보 – 산업: 연구소/컨설팅/조사, 기업형태: -, 사원수: -, 설립: –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관련 뉴스, 기업리뷰와 면접후기를 통하여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22년 하반기 채용 | 기업리뷰 3건, 연봉정보 2건, 면접후기 0건, 복지정보 0건, 채용공고 0건 | 잡플래닛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기업정보 – 산업: 연구소/컨설팅/조사, 기업형태: -, 사원수: -, 설립: –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관련 뉴스, 기업리뷰와 면접후기를 통하여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3건 기업리뷰, 2건 연봉정보, 0건 면접후기 0건 복지정보, 0건 채용공고, 대기업 채용, 중소기업 채용, 1000대기업, 취업사이트, 상반기채용, 하반기채용, 합격자소서, 면접예상질문, 연봉순위, 잡플래닛리뷰, 취업준비생, 채용정보, 채용공고, 공채, 구인구직사이트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기업정보 – 산업: 연구소/컨설팅/조사, 기업형태: -, 사원수: -, 설립: –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관련 뉴스, 기업리뷰와 면접후기를 통하여 원하시는 기업에 대한 정보를 미리 체험하세요!
- Table of Contents:
뉴스룸
프리미엄 리뷰
리뷰
연봉
면접
복지
채용
기업정보
이 회사를 본 사람들이 많이 찾는 기업
신고하기
신고가 접수되었습니다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https://toplist.pilgrimjournalist.com/blog.
BioIN(바이오인)
이슈 보고서 2022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2022 바이오 미래유망기술1. 연구 배경 및 목적 가. 연구 배경 및 필요성 [프롤로그(Prologue) – 시작에 앞서] 미래학자 토머스 프레이(Thomas Frey)는 그의 저서「미래와의 대화(Communicating with the Future)」에서 “비전은 미래와 소통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라고 주장하고 있으며, 또한 그는 “몇 년 후나 몇 십 년 후에 실현될 새로운 기술에 대한 비전이 많은 반면 그 중에 결코 실현되지 않을 기술도 존재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비전은 처음에는 작은 씨앗과 같다.”라고 말하고 있다. 우리의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이 바이오 분야의 미래비전을 제시할 수 있는 작은 씨앗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 4차 산업 혁명, 디지털 전환 추세 속에서 연구개발 혁신의 모델이 과거 선형(linear) 방식에서 경로-파괴형(path-breaking) 모델로 변화ㅇ 최근 미국 한림원에서 발표한 자료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Engineering, Medicine, NAE Perspectives, Technoscientific Research: A Missing Term in R&D Discourse, 2022.1.18에 의하면 2차 세계대전 이후 정립되어 온 선형 모델(과학 이후 기술개발 순)은 더 이상 연구개발의 혁신 모델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대신에 과학과 기술이 상호협력하여 혁신을 창조하는 경로 파괴형 모델에 기반한 technoscientific research와 technoscientific development 추진이 필요하다고 설명- 특히, 경로 파괴형 혁신 모델에 따라 과학과 기술을 구분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하며, “Technoscientific”이라는 용어를 강조 ※ 최근 미국 의회에서도 과학과 기술의 상호 혁신을 위해 미국 NSF의 역할을 과학에서 기술로 넓히는 범위 조정에 대한 제도화 움직임이 있으며, 저자는 더 나아가 NSF(National Science Foundation) 명칭을 NRF(National Research Foundation)로 변경해야 한다고 주장 [그림 1] 경로 파괴형(path-breaking)으로의 혁신 모델 전환 □ 과학과 기술은 구분할 필요가 없으나, 특성이 서로 다른 Research와 Development는 구분해서 지원할 필요 ㅇ Research는 질문 찾기(Question Finding) 성격이 강하여 목표를 예측할 수 없는 반면에, Development는 해답 찾기(Answer Finding) 성격이 강해 사전에 목표를 예상해서 관리가 가능……………….(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김흥열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 – 국가 바이오정책 디지털 플랫폼구축, 바이오 경제 앞당기는 초석이 될 것
인류의 난제를 해결하는 바이오 기술, 신산업 창출로 글로벌 경제를 열어가는 대한민국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생명공학 정책 씽크탱크(Think tank)’로, 국내외 생명공학 동향·이슈를 모니터링·분석하고 관련분야 산·연 전문가들과 함께 정부를 도와 정책 아젠다 개발을 지원하고, 수립된 정책들을 국민에게 널리 알리는 홍보 역할을 하고 있다. 2004년 처음 생명(연) 내 연구사업 조직으로 탄생해, 2021년 2월 새롭게 개정된 생명공학육성법 제24조에 근거 “생명공학 정책의 수립·조정 및 기술개발·활용을 효율적으로 지원”하는 정책 전문기관으로 지정됨으로써 새로운 위상을 갖게 되었다. 김흥열 센터장은 “무엇보다도 세계 바이오산업이 합성생물학의 발전에 따라 제조업 부문에서도 혁신이 가속화되어 AI, 로봇 등 딥테크 융합과 디지털 플랫폼의 역할 등으로 요약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이 바이오산업에 급속 전개되고 있다”며 “다양한 데이터가 플랫폼화되어 통합되면서 바이오 분야에서도 다수의 블록버스터를 창출할 수 있도록 플랫폼 중심의 연구개발 전략으로의 변화가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김흥열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 ⓒ박금현 기자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의 주요 사업 내용과 성과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센터가 수행하는 가장 우선순위 업무는 정부의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수립을 지원하는 것입니다. 생명공학육성법에서는 5년마다 범부처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을 수립하고, 매년 시행계획을 마련하여 추진하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정책센터는 이러한 정책수립 및 시행을 지원하기 위하여 바이오관련 국내·외 동향조사를 비롯한 정책의 근거 생성에서부터 시작하여 전문가 네트워크 운영, 정책 홍보에 이르는 일관된 정책 프로세스를 구축·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업무의 진행을 개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동향모니터링을 통하여 중요도가 높은 핵심 이슈를 선별하고, 다양한 형태의 심층 정보를 생성·보급합니다. 매년 ①바이오 R&D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②바이오 중소·벤처기업 통계보고서 발간 ③ 바이오산업분야별, 제품 종류별 국내·외 시장 통계 정보를 주기적으로 보고서로 제작하여 제공하며 그 이외에도 주요 기술별, 정책 이슈별로 필요에 따라 논문, 특허 등 3P 지표분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정부 정책 수립을 위한 전문가 위원회 및 TF를 지원하는 간사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정 연구 분야 혹은 이슈 대응과 관련한 전문가 위원회가 구성되면 저희 정책센터는 그 관련 정보를 총괄적으로 수집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써 심도 있는 논의의 기초 토대를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위원회 초기부터 더욱 핵심 이슈에 접근한 논의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고 각종 세미나, 포럼 등 다양한 이슈 보급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정책 수립 지원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확보된 자료들은 정리하여 정책센터 자체의 정보 포탈인 BioIN(bioin.or.kr)을 통하여 웹진 형태로 일반에 공개합니다. BioINwatch, BioINpro, BioINdustry 등이 핵심 콘텐츠들인데, 최근 그 인기도가 급속히 높아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BioIN 회원 수는 2015년 전후반 약 15,000명 수준이었으나 매년 20% 이상 증가하여 지난 21년 말에는 36,000명 이상으로 2배 이상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해 오픈한 바이오 혁신 연계서비스(BICS) 제공으로 누구나 바이오 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관련 서비스도 소개해주세요.
BICS(Bio Innovation Connect Service)는 바이오 R&D에서 산업화에 이르는 다양한 정보 자료를 수집 이용자들이 쉽게 접근·활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혁신연계서비스 플랫폼입니다. 이미 우리 생태계에는 다양한 혁신 인프라가 구축되어 운영되고 있고 또한 그 과정에서 다양한 전문 정보를 생성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정보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면 그 가치가 훨씬 제고될 것입니다.
정보 연결을 유인하기 위하여 나름의 차별화된 킬러 컨텐츠를 구축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2가지만 말씀드리면, 우선 ①『바이오 클러스터맵』을 들 수 있습니다. 바이오산업과 관련된 혁신 주체들을 디지털 지도상에서 쉽게 찾을 수 있게 도와줍니다. 다음으로 ②『커뮤니티 서비스』로서, 바이오산업 활성화를 위한 On-Off Line 네트워크를 지원합니다. 누구나 회원 가입을 통하여 BICS 시스템 내에 새로운 자신만의 디지털 커뮤니티를 구성하고 운영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앞서 말씀드린 바의 다양한 “정책 근거기반”으로 준비 중인 통계 자료들이 BICS 플랫폼을 통해 함께 서비스될 것입니다. BICS 플랫폼(https://www.bics.re.kr/)의 많은 이용을 바랍니다.
센터장님께서 생각하시는 ‘K-바이오파운드리 구축 전략’에 대해 자세히 들어보고 싶습니다.
기존 바이오 혁신이 유전체를 분석하고 기능을 밝히는 연구에 집중됐는데 이제는 그간 밝힌 유전체 정보와 기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필요에 따라 인위적으로 유전체를 편집하고 활용하는 합성생물학의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 바이오파운드리가 있습니다. 간단히 말해 바이오파운드리는 AI·Robot 등 첨단기술을 활용하여 생명시스템을 “설계(D)-제작(B)-검증(T)-학습(L)”하는 全 과정을 자동화한 플랫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향후 바이오기술 및 산업 패러다임을 크게 바꾸어놓을 핵심 기반입니다.
미국, 중국 등 해외 주요국에서도 합성생물학기술에 기반하여 바이오 실험·제조 공정을 자동화 고속화하는 바이오파운드리를 구축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우리 정부도 다양한 연구기관과 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 핵심 인프라로서 바이오파운드리를 구축하기 위한 대규모 투자를 준비 중입니다. 계획대로라면 올해 정부 대형 예타 사업으로서 기술성 평가를 받게 될 것이며, 2023년부터는 바이오파운드리 건설 사업을 비롯한 핵심 사업들이 착수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김흥열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
김흥열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 ⓒ박금현 기자
바이오산업의 바람직한 발전을 위해서 정책 제언 또는 제도 개선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앞서 합성생물의 시대가 열리고 있음을 말씀드렸습니다. 그런데 이 합성생물 패러다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와는 매우 다른 새로운 규제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지난 2010년 미국 오바마 대통령은 직속 생명윤리연구위원회에 합성생물학과 같은 과학 분야의 혜택을 누리는 동시에 적절한 윤리적 경계를 식별하고 식별된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 권고사항을 요청한 바 있습니다. 그 결과로서 위원회는 “신중한 경계 접근(prudent vigilance approach)”을 보고하였습니다. 이는 불확실한 리스크에 대한 과학적 증거가 없는 경우에도 연구개발을 허용하되 지속적인 리스크 평가를 통해 과학적 증거를 보강하는 규제를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기존의 기술과 개발 중인 기술을 포함하여 모든 신흥기술의 규제를 결정할 때에 적용할 수 있는 접근방식입니다. 이러한 신중한 경계 원칙을 우리의 바이오 관련 신기술 규제에 도입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향후 새로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에 부응한 새로운 규제제도를 창출하는 우리 자체의 역량도 확보가 요구됩니다.
하지만 우리 자신을 뒤돌아보면, 자체 규제제도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이 매우 취약합니다. 우리는 지금까지 주로 해외 규제·제도를 도입하여 사용해 왔습니다. 선진국에서 오랜 기간 사회적 논의를 거쳐 수립된 규제 제도들을 도입해 쓰다 보니 우리 실정과 정서에 맞지 않는 경우도 많고, 기술의 급속한 진보에 따라가지 못함으로써 제도가 진부화되는 불합리가 빈발합니다. 앞으로는 규제제도도 세계 최초를 지향하여 선도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습니다. 신제품에 대한 승인 규정이 있어야 신제품 출시가 되고 신시장이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신규 규제의 개발 역량은 신제품 창출과 시장선점을 위한 전제조건입니다. 신기술의 등장과 더불어 R&D 초기 단계에서부터 장기적인 전망을 통하여 사회 공론화 과정을 거쳐 규제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미래기술예측이나 기술영향평가 등과 같은 경제·사회과학적 연구기반에 대한 지원도 요구됩니다.
김흥열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장 ⓒ박금현 기자
2022년 K-바이오 미래 유망 기술과 바이오 시장의 경제 전망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최근의 미·중 패권경쟁이나 소·부·장 사태, 그리고 팬데믹 감염병 등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상황입니다. 당분간 이러한 불확실성이 해소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위기 상황에서 국가 사회적 역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연한 전략수행체계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코로나 팬데믹에 대한 초기 대응에 성공적이었다고 평가됩니다. 진단키트를 발 빠르게 개발해 세계에 수출하고 있으며, 방역에서도 모범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한국의 바이오를 바라보는 외부의 시선도 점차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앞으로 K-바이오의 높아진 글로벌 인지도를 기반으로 세계 속에서 우리의 입지를 확대하기 위한 적극적 전략이 요구됩니다.
무엇보다도 세계 바이오산업이 합성생물학의 발전에 따라 제조업 부문에서도 혁신이 가속화되는 모양새입니다.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AI, 로봇 등 딥테크 융합과 디지털 플랫폼의 역할 등으로 요약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이 바이오산업에 급속 전개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현장과 산업 제조 현장에 AI, 로봇 등 첨단기술을 도입한 스마트화, 첨단화 체질 혁신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우리에게는 이미 강력한 ICT 기반이 있으며, 세계적 수준의 화학기업들은 향후 친환경적인 산업으로의 전환을 위한 상당한 수요를 가지고 있습니다. 바이오와 이러한 역량 및 잠재 수요와 더불어 코로나 위기 속에서 빛 난 K-바이오의 자신감이 어우러진다면, 한 번 도전해 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국가생명공학센터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과 운영 철학에 대해 말씀 부탁드립니다.
바이오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다양성”입니다. 기술의 응용도 보건의료, 농식품, 환경 등 다양한 범위에 걸쳐있고 기술의 사업화도 장기간에 걸친 수많은 요소들이 결합되어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특징은 바이오 부문의 정책 수립을 어렵게 하는 중요한 요인이 됩니다. 다양한 분야, 다양한 정부 부처가 참여하면서 중복이 발생하거나 종합·조정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생기며, 규제도 부처별로 매우 분산적이고 또한 복잡하게 서로 얽혀 있습니다. 합리적 정책 수립과 추진에 지장을 초래하는 요인입니다.
한 대안으로 첨단 플랫폼에 기반한 연구·혁신(Research & Innovation) 체제로의 전환이 시급합니다. 이제는 데이터가 자원인 시대입니다. 개발 논문이나 특허 성과는 그 자체로도 물론 중요하지만 그러한 성과를 창출하는 과정에서 얻어진 실험 데이터와 노하우가 오히려 더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연구과정에서 생성된 다양한 데이터가 플랫폼화되어 통합되면서 바이오 분야에서는 물론 다른 여러 산업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습니다. 바이오 분야의 미션은 이제 몇 개의 블록버스터를 창출하는 접근법이 아니라 다수의 블록버스터를 창출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과정을 혁신하고 가속화시키기 위한 플랫폼 중심의 연구개발 전략으로의 변화가 요구됩니다. 그러한 플랫폼은 바이오는 물론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혁신의 기반으로 기여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정책 업무와 관련하여서도 “국가 바이오정책 디지털 플랫폼”구축을 제안 드려봅니다. 산학연에 분산된 혁신 요소들을 디지털 플랫폼에서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를 모아 보자는 것입니다. 저희 BICS 시스템도 이러한 방향성을 가지고 구축되고 있지만, 산학연의 주요 주체들이 데이터· 정보의 상호 연계 협력을 위한 한 단계 더 진화된 플랫폼 모델이 요구됩니다. 이러한 플랫폼은 향후 근거기반의 형성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며, 바이오 경제를 앞당기는 초석이 될 것입니다.
국가생명공학정책전문기관 지정 현판식
저작권자 © 월간인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생명과학산업의 시장 동향과 규제 전망
[BioINdustry No.140] 생명과학산업의 시장 동향과 규제 전망※ 본 보고서의 내용은 Frost & Sullivan에서 발간한 ‘Global Life Sciences Industry Outlook, 2018(2018)’ 보고서 등을 참고로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 제약과 생명공학(Pharma and Biotech) 시장은 2022년 약 1.47조 달러로 약 1.3배 성장이 예상
○ 2016년 약 1.15조 달러 규모에서 2022년 약 1.47조 달러 규모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나 연평균 성장속도는 2020년 이후 기존 4.3%에서 4.0%로 0.3%p 낮아질 전망
○ 현재 화학 의약품의 시장점유율은 78.8%로 바이오의약품 21.2%에 비해 높지만 바이오의약품의 혁신에 대한 요구로 더 높은 성장률이 예상
[그림 1] Pharma and Biotech 시장 전망(단위 : 십억 달러, %)
출처 : Frost & Sullivan, Global Life Sciences Industry Outlook 2018, 2018.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구성.
□ 체외진단기기와 연구장비(IVD and Research tools) 시장 역시 2022년 각각 약 0.96조 달러, 약 0.31조 달러로 약 1.7배 성장이 예상
○ 체외진단기기(In Vitro Diagnostics, IVD) 시장은 2016년에서 2022년 약 1.7배 확대 전망
– 분자진단, 치료시점 진단 시장의 세계적인 성장에 따라 2017년 이후 연간 약 6.0%에서 2022년 8.7%로 성장이 가속화
– 현재 체외진단기기 시장은 면역조직화학(Immunohistochemistry)이 41.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 혈당자가측정(Self Monitoring of Blood Glucose, SMBG, 14.5%), 현장진단검사(Point Of Care Test, POCT, 13.1%), 분자진단(Molecular Diagnostics, 12.7%), 조직진단(Tissue Diagnostics, 6.1%), 임상미생물(Clinical Microbiology, 5.1%), 혈액학(Hematology, 4.0%), 지혈학(Hemostasis, 2.8%)의 순
○ 연구장비(Research tools) 시장은 2016년에서 2022년 약 1.7배 확대 예상
– 측정기기의 속도와 범위의 증대로 전통적인 생명과학 연구도구 시장의 침체가 예상되지만 커넥티드랩 및 유전자편집 솔루션의 증가로 연평균 8.6% 이상의 성장이 예상
– 현재 연구장비 시장은 연구시약 및 소모품이 63.6%, 실험기기 및 장비가 27.7%, 연구실 자동화 및 소프트웨어 솔루션 8.7%로 구성
[그림 2] IVD and Research tools 시장 전망(단위 : 십억 달러, %)
출처 : Frost & Sullivan, Global Life Sciences Industry Outlook 2018, 2018.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구성.
○ IVD and Research tools 시장은 컴퓨팅 솔루션 및 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신기술에 대한 정부당국의 감시도 강화
○ 전 세계 IVD 시장은 2018년 미국이 242억 달러(34.6%), 서유럽 173억 달러(24.7%), 아시아-태평양 84억 달러(12.0%), 중국 50억 달러(7.1%), 일본 40억 달러(5.7%), 브라질 27억 달러(3.9%), 동유럽 14억 달러(1.4%), 아프리카 4.9억 달러(0.7%), 기타 64.9억 달러(약 9.3%) 규모
□ 시장과 정부규제는 한 분야의 개선과 발전이 다른 분야의 개선과 발전을 유도하는 공진화(coevolution) 관계를 형성
○ 최근 정부규제는 국제규제와의 조화, 데이터 기반의 접근, 실시간 규제,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재설계가 진행 중(Deloitte, 2019a)
○ 정부규제는 제약과 생명공학, 체외진단기기와 연구장비 시장에 긍정·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기술의 발전은 정부규제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향상
○ 생명과학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제도개선 노력과 기업의 지속적인 혁신 노력이 함께 필요(Deloitte, 2018; Deloitte, 2019b)
……………….(계속)
☞ 자세한 내용은 해당 홈페이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생명 공학 정책 연구 센터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BioIN, 생명공학연구원,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마이크로바이옴, 한국바이오협회, 생명과학 최신 연구 동향,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글로벌 제약산업 현황 및 전망, BioINwa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