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7 조선 시대 연표 Top Answer Update

You are looking for information, articles, knowledge about the topic nail salons open on sunday near me 조선 시대 연표 on Google, you do not find the information you need! Here are the best content compiled and compiled by the https://toplist.pilgrimjournalist.com team, along with other related topics such as: 조선 시대 연표 조선 후기 년도, 조선시대 왕, 한국 역사 연대표, 조선시대 기간, 조선 멸망 년도, 역사연표, 조선 역사, 조선역사 정리


[시험대비 필수영상] 조선시대 총정리 / 조선전기후기 한방에 정리해드립니다! (재업로드)
[시험대비 필수영상] 조선시대 총정리 / 조선전기후기 한방에 정리해드립니다! (재업로드)


조선 시대 연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 Article author: ko.wikipedia.org
  • Reviews from users: 38875 ⭐ Ratings
  • Top rated: 4.9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조선 시대 연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연대표편집 ; 1446년, 한글 반포 (훈민정음) ; 1450년, 2월 문종 조선 제 5대 임금으로 등극 ; 1450년, 고려사 완성 ; 1452년, 5월 단종 조선 제 6대 임금으로 등극 ; 1455년, 6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조선 시대 연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연대표편집 ; 1446년, 한글 반포 (훈민정음) ; 1450년, 2월 문종 조선 제 5대 임금으로 등극 ; 1450년, 고려사 완성 ; 1452년, 5월 단종 조선 제 6대 임금으로 등극 ; 1455년, 6 …
  • Table of Contents:

연대표[편집]

같이 보기[편집]

조선 시대 연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선 시대 연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Read More

문화유산채널

  • Article author: www.k-heritage.tv
  • Reviews from users: 1201 ⭐ Ratings
  • Top rated: 4.9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문화유산채널 주요사건. 제 1대 태조 (재위 1392~1398), 1392년 1394년 1398년, 조선 건국 한양 천도 1차 왕자의 난. 제 2대 정종 (재위 1398~1400), 1400년, 2차 왕자의 난.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문화유산채널 주요사건. 제 1대 태조 (재위 1392~1398), 1392년 1394년 1398년, 조선 건국 한양 천도 1차 왕자의 난. 제 2대 정종 (재위 1398~1400), 1400년, 2차 왕자의 난. 문화유산의 소중한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하여 고품질 문화유산 동영상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
  • Table of Contents:

건너뛰기링크

문화유산칼럼

문화유산채널
문화유산채널

Read More

역사 연표 | 조선 왕조

  • Article author: sootax.co.kr
  • Reviews from users: 28528 ⭐ Ratings
  • Top rated: 4.5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역사 연표 | 조선 왕조 조선시대(朝鮮時代 1392~1910) 연표 (27대 519년) · 01대 태조 1392~1398 · 1393년 2월 국호를 조선으로 바꿈. · 1398년 (태조 7)8월 제1차 왕자의 난 일어남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역사 연표 | 조선 왕조 조선시대(朝鮮時代 1392~1910) 연표 (27대 519년) · 01대 태조 1392~1398 · 1393년 2월 국호를 조선으로 바꿈. · 1398년 (태조 7)8월 제1차 왕자의 난 일어남 … ** 2012-12-11 조선 왕조 연표 정리 조선시대(朝鮮時代  1392~1910) 연표 (27대 519년) 王代 (왕대)     年代(연대) 01대 태조    1392~1398 1393년 2월 국호를 조선으로 바꿈. 1394년 10월 한양천도(..
  • Table of Contents:

Header Menu

Main Menu

역사 연표 조선 왕조

Sidebar – Right

Sidebar – Footer 1

Sidebar – Footer 2

Sidebar – Footer 3

Copyright © 공부하는 세무사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B FACTORY

역사 연표 | 조선 왕조
역사 연표 | 조선 왕조

Read More

조선시대 | history>강화연표

  • Article author: www.ganghwa.go.kr
  • Reviews from users: 31924 ⭐ Ratings
  • Top rated: 4.8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조선시대 | history>강화연표 1300년대. 1392년 7월 20일. 고려의 왕씨들을 강화에 가둠. 1393년 5월 4일. 박영충(朴永忠)을 강화절제사(江華節制使)로, 이승원(李承源)을 교동절제사로 임명함.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조선시대 | history>강화연표 1300년대. 1392년 7월 20일. 고려의 왕씨들을 강화에 가둠. 1393년 5월 4일. 박영충(朴永忠)을 강화절제사(江華節制使)로, 이승원(李承源)을 교동절제사로 임명함.
  • Table of Contents:
조선시대 | history>강화연표” style=”width:100%”><figcaption>조선시대 | history>강화연표</figcaption></figure>
<p style=Read More

조선시대 연표 : 네이버 블로그

  • Article author: m.blog.naver.com
  • Reviews from users: 21068 ⭐ Ratings
  • Top rated: 3.6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조선시대 연표 : 네이버 블로그 조선시대 연표 · 1393년. 2월 국호를 조선으로 바꿈. · 1400년, (정종 2) 1월, 제2차 왕자의 난 발생 · 1434년. (세종 16) 6월 장영실(蔣渶實), 자격루(自擊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조선시대 연표 : 네이버 블로그 조선시대 연표 · 1393년. 2월 국호를 조선으로 바꿈. · 1400년, (정종 2) 1월, 제2차 왕자의 난 발생 · 1434년. (세종 16) 6월 장영실(蔣渶實), 자격루(自擊 …
  • Table of Contents:

카테고리 이동

달빛이 이슬인양 창가에 기댓어라 !

이 블로그 
역사속 주요 연표
 카테고리 글

카테고리

이 블로그 
역사속 주요 연표
 카테고리 글

조선시대 연표 : 네이버 블로그
조선시대 연표 : 네이버 블로그

Read More

Á¶¼±¿ÕÁ¶ ¿¬´ëÇ¥

  • Article author: www.ihappy.kr
  • Reviews from users: 19478 ⭐ Ratings
  • Top rated: 4.3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Á¶¼±¿ÕÁ¶ ¿¬´ëÇ¥ Updating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Á¶¼±¿ÕÁ¶ ¿¬´ëÇ¥ Updating
  • Table of Contents:
Á¶¼±¿ÕÁ¶ ¿¬´ëÇ¥
Á¶¼±¿ÕÁ¶ ¿¬´ëÇ¥

Read More

::: 전자연표(문현연표) :::

  • Article author: kostma.aks.ac.kr
  • Reviews from users: 6487 ⭐ Ratings
  • Top rated: 3.1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 전자연표(문현연표) ::: 전자연표 시대범례 ; 1392 조선 태조 1 · 1392년 이화(李和) 개국공신녹권(開國功臣錄券) ; 1392 조선 태조 1 · 1392년 태조(太祖) 사급문기(賜給文記) · 太祖 李成桂가 1392년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 전자연표(문현연표) ::: 전자연표 시대범례 ; 1392 조선 태조 1 · 1392년 이화(李和) 개국공신녹권(開國功臣錄券) ; 1392 조선 태조 1 · 1392년 태조(太祖) 사급문기(賜給文記) · 太祖 李成桂가 1392년 …
  • Table of Contents:
::: 전자연표(문현연표) :::
::: 전자연표(문현연표) :::

Read More

조선시대 연표 정리

  • Article author: adipo.tistory.com
  • Reviews from users: 7396 ⭐ Ratings
  • Top rated: 3.5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조선시대 연표 정리 조선시대 연표 정리 · 성종, ➀ 김종직 등 진출. · 연산군, 무오사화 · 갑자사화 (1504.10년) · 중종, 중종대의 진출 · 조광조의 혁신정치, ※ 도학정치, 지치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조선시대 연표 정리 조선시대 연표 정리 · 성종, ➀ 김종직 등 진출. · 연산군, 무오사화 · 갑자사화 (1504.10년) · 중종, 중종대의 진출 · 조광조의 혁신정치, ※ 도학정치, 지치 … 조선전기 연표 ※ 조선사회의 특징: ①중앙정치: 왕도정치 중시, 중앙집권적 관료제 성격 강화, 관직의 분화, 언로와 견제장치 발달(3사, 경연·서연), ②지방제도: 중앙집권력 강화(전 군현에 지방관..책 구매 없이 PDF 다운로드
    [email protected]
  • Table of Contents:

조선시대 연표 정리

티스토리툴바

조선시대 연표 정리
조선시대 연표 정리

Read More

조선 시대 연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 한국어 2022 – Study in China

  • Article author: www.duhoctrungquoc.vn
  • Reviews from users: 30427 ⭐ Ratings
  • Top rated: 3.1 ⭐
  • Lowest rated: 1 ⭐
  • Summary of article content: Articles about 조선 시대 연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 한국어 2022 – Study in China 연대표 ; 1392년, 7월 조선건국 태조 이성계 고려국왕등극 ; 1393년, 국호를 조선으로 개정 ; 1394년, 경복궁 미완공 ; 1394년, 10월 한양 천도 ; 1394년, 조선 … …
  • Most searched keywords: Whether you are looking for 조선 시대 연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 한국어 2022 – Study in China 연대표 ; 1392년, 7월 조선건국 태조 이성계 고려국왕등극 ; 1393년, 국호를 조선으로 개정 ; 1394년, 경복궁 미완공 ; 1394년, 10월 한양 천도 ; 1394년, 조선 … 다음은 조선의 주요 사건을 모아놓은 연대표이다.
  • Table of Contents:
See also  Top 41 발톱 때 제거 21660 Votes This Answer

연대표

같이 보기

Related topics

조선 시대 연표 – Wiki 한국어

조선 시대 연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 한국어 2022 - Study in China
조선 시대 연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 한국어 2022 – Study in China

Read More


See more articles in the same category here: Toplist.pilgrimjournalist.com/blog.

주요사건

제 19대 숙종

(재위 1674~1720)

1678년

1680년

1689년

1694년

1696년

1708년

1712년

상평통보 전국 유통

경신환국(남인 실각, 서인 집권)

기사환국(서인 실각, 남인 집권)

갑술환국(남인 실각, 서인 집권)

안용복, 독도에서 일인 쫓아냄

대동법 전국 실시

백두산정계비 건립

제 20대 경종

(재위 1720~1724)

1721년

신임사화(~1722년)

제 21대 영조

(재위 1724~1776)

1725년

1750년

1764년

1770년

탕평책 실시

균역법 실시

장예원 혁파

<동국문헌비고> 완성

제 22대 정조

(재위 1776~1800)

1776년

1786년

1791년

1795년

규장각 설치

서학(천주교) 금지

신해통공(금난전권 폐지), 장용영 설치

수원 화성 행차

제 23대 순조

(재위 1800~1834)

1801년

1801년

1811년

1818년

신유박해

공노비 폐지

홍경래의 난

정약용, <목민심서> 저술

제 24대 헌종

(재위 1834~1849)

1839년

기해박해

제 25대 철종

(재위 1849~1863)

1860년

1861년

1862년

최제우, 동학 창시

김정호, 대동여지도 제작

진주 민란

제 26대 고종

(재위 1863~1907)

1865년

1866년

1871년

1876년

1879년

1881년

1881년

1882년

1883년

1884년

1885년

1887년

1894년

1895년

1896년

1897년

1899년

1904년

1905년

1906년

1907년

경복궁 중건

제너럴셔먼호 사건, 병인양요

신미양요

강화도조약

지석영, 종두법 전래

신사유람단 파견

영선사 파견

임오군란, 제물포조약

한성순보발간, 태극기를 국기로 선정

우정국 설치, 갑신정변, 한성조약

광혜원 설립, 거문도 사건

언더우드, 새문안교회 설립

동학농민운동, 청일전쟁, 갑오개혁

을미사변, 단발령, 을미의 병

독립협회 설립, 독립신문 창간, 아간퐈천

대한제국 성립

경인선 철도 개통

러일전쟁(~1905), 한일의 정서 강제 체결, 경부선 철도 완공

을사조약

통감부 설치(이토 히로부미 초대 통감)

국채보상운동 시작, 헤이그밀사 사건, 고종 강제 퇴위, 한일신협약, 신민회 설립

제 27대 순종

(재위 1907~1910)

1908년

1909년

1910년

동양척식주식회사 설립

안중근, 이토 히로부미 암살

한일병합조약

역사 연표

** 2012-12-11 조선 왕조 연표 정리

조선시대(朝鮮時代 1392~1910) 연표 (27대 519년)

王代 (왕대) 年代(연대)

01대 태조 1392~1398

1393년 2월 국호를 조선으로 바꿈.

1394년 10월 한양천도(漢陽遷都)

1398년 (태조 7)8월 제1차 왕자의 난 일어남, 정도전, 남은 등 죽임을 당함

02대 정종 1398~1400

1398년 (태조 7)9월 태조, 방과(芳果)에게 왕위를 물려줌

1400년 (정종 3)1월 제2차 왕자의 난 발생

03대 태종 1400~1418

1400년 (정종 3) 정종, 방원(芳遠)에게 왕위를 물려줌

1401년 (태종 1)년 7월 신문고(申聞鼓)설치

1414년 (태종 14)년 경기좌우도를 경기도로 개편 : 전국 8도 체제가 완성됨.

04대 세종 1418~1450

1420년 (세종 2)년 3월 집현전(集賢殿)을 설치함

1425년 (세종 7)년 2월 처음으로 동전을 사용. 4월 저화 사용을 금지하고 동전만 사용하도록 함

1429년 (세종 11)년 정초(鄭招), 『농사직설(農事直說)』을 편찬함

1434년 (세종 16)년 6월 장영실(蔣渶實), 자격루(自擊漏 : 물시계)를 만듦. 동북면에 6진(六鎭) 설치

1443년 (세종 25)년 2월 계해조약(癸亥條約)체결 : 통신사(通信使)가 쓰시마 도주와 세견선(歲遣船) 50척으로 정함.

1443년 12월 훈민정음(訓民正音) 창제

1445년 (세종 27)년 4월 정인지(鄭麟趾), 권제(權?) 등,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10권을 편찬하여 올림.

1446년 (세종 28)년 9월 훈민정음 반포

1447년 (세종 29)년7월『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완성. 안견(安堅)이「몽유도원도」그림.

05대 문종 1450~1452

1452년 (문종 2)년 2월 김종서 등 『고려사절요』 편찬 : 연대순으로 정리한 고려 역사책.

06대 단종 1452~1455

1453년 계유정난. 이징옥(李澄玉)의 난 일어남

07대 세조 1455~1468

1455년 (단종 3) 윤6월 단종, 수양대군(世祖)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上王)이 됨.

1456년 (세조 2) 6월 성삼문, 박팽년 등이 상왕의 복위를 도모하다 처형됨(死六臣).

1457년 (세조 3) 6월 단종을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등 영월에 유배, 10월 영월에서 단종사망.

1463년 (세조 9) 11월 홍문관(弘文館) 설치.

1467년 (세조 13) 5월 이시애의 난(李施愛亂) 발생.

1468년 (세조 14) 10월 남이(南怡), 반역죄로 처형됨.

08대 예종 1468~1469

09대 성종 1469~1494

1470년 (성종 1) 11월 『경국대전(經國大典)』 교정(校訂) 완성됨.

1478년 (성종 9) 12월 서거정(徐居正), 『동문선(東文選)』을 편찬함.

1482년 (성종 13) 8월 폐비 윤씨(廢妃 尹氏)에게 사약을 내림.

10대 연산군 1494~1506

1498년 (연산군 4) 무오사화(戊午士禍)발생, 10월 김종직(金宗直)의 문집을 모아 불태움

1504년 (연산군10) 갑자사화(甲子士禍) 발생.

1506년 (연산군12) 중종 반정 : 박원종(朴元宗) 등, 왕을 폐하고(晋城大君)을 왕으로 옹립(中宗).

11대 중종 1506~1544

1510년 (중종 5) 4월 삼포왜란(三浦倭亂) 발생.

1512년 (중종 7) 8월 임신조약(壬申條約) 체결.

1515년 (중종 10) 조광조(趙光祖), 정계 등장

1517년 (중종 12) 6월 축성사(築城司)를 비변사(備邊司)로 개칭. 12월 기묘사화(己卯士禍) 발생

1519년 (중종 14) 4월 조광조의 건의에 따라 현량과(賢良科) 실시.

1522년 (중종 17) 12월 소격서(昭格署)를 설치

1530년 (중종 25) 8월 이행(李荇),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편찬 : 조선 전기 지리지의 완성본.

1543년 (중종 38). 풍기군수 주세붕(周世鵬)이 백운동 서원 건립 : 서원(書院)의 시초.

12대 인종 1544~1545

1545년 (인종 1) 을사사화(乙巳士禍) 발생.

13대 명종 1545~1567

1547년 (명종 2) 정미약조(丁未約條) 체결.

1555년 (명종10) 을묘왜변(乙卯倭變) 일어남.

1559년 (명종14) 임꺽정의 난(林巨正亂) 발생.

14대 선조 1567~1608

1568년 (선조 2) 전랑(銓郞) 관직을 둘러싸고 동인(東人)과 서인(西人)으로 분열시작.

1575년 (선조 8) 동서분당(東西分黨).

1580년 (선조 13) 정철(鄭澈), 「관동별곡(關東別曲)」을 지음.

1584년 (선조17) 이이(李珥1536~ )가 세상을 떠남.

1589년 (선조 22) 10월 정여립 모반 사건(鄭汝立謀反事件) 발생.

1590년 (선조 23) 3월 황윤길(黃允吉), 김성일(金誠一)을 일본에 통신사로 파견.

1591년 (선조24) 서인인 정철(鄭澈)의 실각, 동인이 남인(南人)과 북인(北人)으로 나뉨.

1592년 (선조25) 4월 임진왜란 발발. 선조, 한성을 떠나 피난길에 오름. 5월 사천 해전에서 거북선을 처음으로 사용. 6월 일본군, 진주성 공격, 논개(論介) 사망. 7월 말 곽재우(郭再祐)가 경상도 의령, 현풍, 영산 등지에서 왜군 격파. 8월 금산 전투에서 조헌과 영규의 의병 전산(七百義塚). 10월 진주대첩(晉州大捷).

1593년 (선조 26) 2월 행주대첩(幸州大捷) : 함경,평안도의 일본군, 한성으로 퇴각.

1597년 (선조 30) 1월 정유재란(丁酉再亂) 발발.

1598년 (선조 31) 11월 노량 해전 : 이순신 함대, 일본 수군을 대파시킴. 이순신(李舜臣) 전사.

1605년 (선조 38) 4월 유정(惟政), 일본에서 포로 3000여 명을 데리고 돌아옴.

1607년 (선조 40) 이 해 허균(許筠)이 『홍길동전』을 지음.

1608년 (선조 41) 2월 광해군(光海君) 즉위. 이 해 경기도에 대동법(大同法)을 실시함

15대 광해군 1608~1623

1608년 (선조41) 2월 광해군(光海君) 즉위.

1610년 (광해군 2) 8월 허준(許浚), 『동의보감(東醫寶鑑)』을 완성함.

1613년 (광해군 5) 영창대군, 강화도에 위리안치

1618년 (광해군10) 1월 인목대비의 호를 삭탈하고 서궁(西宮)이라 칭함.

1619년 (광해군11) 3월 명에 보낸 원군 패배, 도원수 강홍립(姜弘立)은 금에 항복.

16대 인조 1623~1649

1623년 (광해군15) 인조 반정 발생 이귀(李貴)를 비롯한 서인이 광해군(光海君)을 쫓아냄

1626년 (인조 4) 병자호란(丙子胡亂) 발발.

1627년 (인조 5) 정묘호란(丁卯胡亂) 일어남.

1636년 (인조14) 2월 후금이 보낸 국서를 받지 않고 거절함.

17대 효종 1649~1659

1649년 (인조27)효종 즉위.

1652년 (효종 3) 효종의 북벌정책(北伐政策)이 본격적으로 추진됨.

1653년 (효종 4) 8월 네덜란드인 하멜(Hamel, H) 일행의 제주도 표착이 보고됨

1666년 탈출하여 『하멜표류기』를 씀.

1654년 (효종 5) 3월 제1차 나선정벌(羅禪征伐).

1659년 (효종10) 5월 제1차 예송논쟁(禮訟論爭).

18대 현종 1659~1674

1660년(현종1) 남인·서인간에 예론(禮論) 일어남

1669년(현종10) 송시열의 건의로 동성결혼 금함.

1674년(현종15) 2월 제2차 예송논쟁(禮訟論爭).

19대 숙종 1674~1720

1675년 숙종 즉위, 상평통보 주조

1680년 (숙종 5) 경신환국(庚申換局) : 남인에 대한 대숙청 서인이 정권을 장악.

1683년 (숙종 8) 4월 서인이 노론, 소론으로 나뉨.

1689년 (숙종14) 기사환국(己巳換局) 세자책봉문제로 노론 실각, 남인 집권. 김수항(金壽恒)· 송시열 사사. 김만중, 《구운몽》 저술

1690년 (숙종15) 호적법을 밝히고 지패(紙牌)를 목패로 바꿈

1693년 (숙종18) 안용복(安龍福)이독도에서 일본인을 쫓아 내고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 영토임을 확인시킴.

1694년 (숙종19) 갑술옥사(甲戌獄事) 노론이 정권을 잡고 남인은 몰락함.

1696년 (숙종21) 안용복(安龍福), 일본어선의 울릉도출어를 항의하여 일본의 사과를 받아냄

1697년 (숙종22) 8도에 대기근

1699년 (숙종24) 남형(濫刑) 금함. 전염병 만연, 사망자 25만여 명

1701년 (숙종26) 10월 장희빈(張禧嬪), 사약을 받음.

1703년 (숙종28) 군제(軍制) 문란을 시정하기 위해 이정청(釐正廳) 설치

1708년 (숙종33) 전국적으로 대동법 실시

1711년 (숙종36) 북한산성 축성. 일본에 통신사 보냄

1712년 (숙종37) 5월 백두산 정계비(白頭山定界碑)를 세움.

1713년 (숙종38) 8도에 암행어사 파견

1714년 (숙종39) 8도에 지진 일어남

1717년 (숙종42) 전국 호수54만7709, 인구682만9771. 황해도 연해에 황당선(荒唐船)출몰 빈번.

1718년 (숙종43) 흉년 계속, 전염병 만연으로 사망자 속출

20대 경종 1720~1724

21대 영조 1724~1776

1725년 (영조 1) 1월 탕평책 실시

1728년 (영조 4) 3월 이인좌의 난(李麟佐亂) 발생.

1741년 (영조17) 9월 난전(亂廛)을 엄히 금지함.

1750년 (영조26) 7월 균역법(均役法) 실시함.

1760년 (영조36) 6월 『일성록(日省錄)』 기록 시작(-1910) : 국왕의 언행과 정사를 기록한 책. 세손인 정조가 일기를 쓰면서 시작. 정조 즉위후 정부의 공식문서로 기록됨.

1762년 (영조38) 윤5월 사도세자(思悼世子), 뒤주 속에 갇혀 죽음.

1770년 (영조46) 8월 『동국문헌비고』 완성 : 정치, 경제, 문화 등 각종 제도와 문물을 분류하여 설명한 책.

1772년 (영조48) 서자를 등용하게 함

22대 정조 1776~1800

1776년 (영조52) 정조(正祖)즉위. 홍국영(洪國?), 도승지로서 세도를 부림. 9월 규장각(奎章閣) 설치.

1783년 (정조 7). 이 무렵. 박지원(朴趾源)이 『열하일기(熱河日記)』를 지음.

1790년 (정조14). 안정복(安鼎福), 『동사강목(東史綱目)』을 지음

1791년 (정조15) 2월, 신해통공(辛亥通共) : 금난전권을 폐지함.

1797년 (정조21) 이긍익(李肯翊, 『연려실기술(練藜室記述)』편찬 : 조선태조부터 숙종대까지의 야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역사책.

23대 순조 1800~1834

1801년 (순조 1) 9월 황사영 백서 사건(黃嗣永 帛書 事件) 일어남.

1805년 (순조 5) 안동 김씨의 세도 정치(勢道政治) 시작.

1811년 (순조12) 12월 평안도 농민전쟁(平安道 農民戰爭) 일어남.

1814년 (순조13) 제주도에서 민란 일어남.

1817년 (순조17) 김정희, 북한산비가 진흥왕 순수비임을 밝힘.

1831년 (순조31) 9월 로마 교황청이 천주교 조선 교구를 설치함.

24대 헌종 1834~1849

1835년 (순조35) 헌종즉위

1840년 (헌종 5) 12월 왕대비, 수렴청정을 거둠. 풍양 조씨의 세도정치가 시작됨.

1846년 (헌종11) 7월 김대건(金大建), 순교함.

1848년 (헌종13) 이양선(異樣船)이 경상, 전라, 황해, 강원, 함경 등지에 계속 나타남.

25대 철종 1849~1863

1849년 (헌종13) 철종 즉위

1861년 (철종12) 김정호(金正浩), 「대동여지도(大東輿地圖)」를 간행함.

1862년 (철종13) 2월 진주 민란 일어남.

1863년 (철종14) 11월 동학교주 최제우(崔濟愚) 체포됨.

26대 고종 1863~1907

1863년 (철종14) 12월 고종즉위 : 흥선대원군이 정권을 장악.

1864년 (고종 1) 3월 동학교주 최제우(崔濟愚), 대구에서 사형당함. 대원군의 서원 철폐 정책 시작

1865년 (고종 2) 4월 경복궁 중건(景福宮重建)을 지시.

1866년 (고종 3) 1월 병인박해 시작. 9월 병인양요.

1868년 (고종 5) 4월 남연군묘(南延君墓) 도굴 사건 발생.

1871년 (고종 8) 신미양요(辛未洋擾) 발생.

1873년 (고종10) 최익현, 대원군을 탄핵한 뒤 제주도에 유배됨. 고종, 친정(親政)을 선포. 민씨 일파의 세도 정치 시작됨.

1875년 (고종12) 운요호사건 발생.

1881년 (고종18) 4월 신사유람담(紳士遊覽團) 파견. 6월 최시형『용담유사(龍潭遺詞)』간행.

1882년 (고종19) 4월 조.미 수호통상조약 조언. 6월 임오군란(壬午軍亂) 발생. 7월 제물포조약(濟物浦條約) 체결됨. 8월 민비 환궁. 박영효가 일본으로 가는 배 안에서 태극기 고안(1883.1.27, 국기로 공식인정).

1883년 (고종20) 10월 박문국, 한성순보(漢城旬報) 발간.

1884년 (고종21) 10월 갑신정변(甲申政變) 발발. 김옥균을 비롯한 갑신정변 주모자들이 일본으로 망명.

1889년 (고종 26) 9월 함경도 감사 조병식(趙秉式)이 함경도에 방곡령(防穀令) 실시.

1894년 (고종 31) 1월 갑오농민전쟁(甲午農民戰爭) 발발. 고부관아 점령. 3월 농민군, 고부 백산에서 봉기. 4월 농민군, 황토현에서 관군과 보부상의 연합부대를 물리침. 6월 일본측, 조선에 내정 개혁 강요. 갑오개혁(甲午改革) 시작. 7월 농민군 집강소(執綱所)를 설치하고 폐정 개혁안(廢政改革案)을 실시. 9월 농민군 2차 봉기(農民軍二次蜂起). 11월 전봉준(全琫準), 전라도 순창에서 체포됨.

1895년 (고종 32) 4월 유길준(兪吉濬), 『서유견문록(西遊見聞)』간행. 8월 을미사변(乙未事變) : 명성황후(明星皇后) 죽음. 11월 단발령(斷髮令)을 내림.

1896년 (고종 33)년 1월 각지에서 을미의병(乙未義兵) 봉기. 2월 아관파천(俄館播遷) 발생. 4월 독립신문(獨立新聞) 창간 : 발행인 서재필(徐載弼).

1897년 (고종 34) 8월 연호 광무(光武)로 고침. 10월 국호를 대한제국(大韓帝國)으로 결정. 12월 손병희 동학 3대 교주가 됨.

1898년 (고종 35) 2월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죽음.

1901년 (고종 38) 5월 제주도 대정군에서 이재수의 난(李在守亂) 발생.

1904년 (고종 41)년 2월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체결.

1905년 (고종 42)년 7월 가쓰라. 태프트 밀약 성립. 11월 을사조약(乙巳條約) 체결.

1906년 (고종 43) 2월 일제에 의한 통감부(統監府) 설치. .

1907년 (고종 44) 1월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 시작됨. 4월 고종, 헤이그 밀사 파견. 7월 이완용, 송병준이 헤이그 밀사 파견을 이유로 고종에게 퇴위를 강요.

27대 순종 1907~1910

1907년 7월 순종(純宗) 즉위. 한일 신협약(韓日新協約) : 정미7조약 체결. .

1908년 (고종 45) 3.23 전명운, 장인환 스트븐스 저격. 11.1 최남선, 최초의 월간 종합지 『소년』 창간

1909년 (고종 46) 10.26 안중근(安重根) 이토 히로부미 사살.

1910년 (고종 47) 8월 한일 합병조약 공포됨. 총리대신 이완용이 통감 테라우치 마사타케와 한국 통치권을 일본 왕에게 양도하는 문서에 서명함.

출처: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history>강화연표

1800년대

1800년 6월 5일 이경일(李敬一)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00년 12월 4일 강화에 표류한 중국 등주부(登州府) 사람을 육로로 호송함.

1801년 5월 29일 강화부에 거주하던 죄인 이인(李?)을 사사함.

1801년 11월 7일 강화에 표착(漂着)한 중국인을 북경으로 돌려보냄.

1802년 6월 1일 한용탁(韓用鐸)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03년 10월 7일 강화유수 한용탁이 흉년 상황을 보고함.

1804년 5월 3일 오재소(吳載紹)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04년 12월 1일 교리 김상휴(金相休)를 강화부안핵어사(江華府按탢御史)로 임명함.

1806년 3월 6일 윤서동(尹序東)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08년 2월 28일 김선(金銑)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09년 10월 29일 강화의 재해지 88결의 세금을 면제함.

1810년 1월 11일 윤치성(尹致性)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10년 10월 3일 강화의 재해지 63결에 대해 세금을 면제함.

1811년 7월 6일 오태현(吳泰賢)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12년 1월 22일 홍의호(洪義浩)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12년 7월 30일 교동 등 백성에게 곡식 6620석을 나누어 진휼함.

1812년 10월30일 재해를 입은 강화의 605결에 대해 세금을 면제함.

1813년 5월 29일 강화의 기민 2만 255명에 대해 절미(折米)를 나누어줌.

1813년 10월 3일 강화에서 재해 비용으로 전문(錢文) 2600냥을 책정함.

1814년 6월 1일 박종경(朴宗京)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15년 7월 29일 강화 기민에게 쌀 3131석을 나누어 진휼함.

1815년 10월 30일 재해를 입은 301결에 대하여 세금을 면제함.

1816년 4월 5일 강화 충렬사에서 제사를 지냄.

1816년 5월 12일 서능보(徐能輔)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17년 1월 1일 충렬사에서 제사를 지냄.

1817년 4월 6일 김상휴(金相休)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17년 10월 29일 재해를 입은 강화 134결에 대하여 세금을 면제함.

1819년 3월 16일 조만원(趙萬元)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21년 1월 1일 서준보(徐俊輔)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21년 6월 5일 윤노동(尹魯東)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21년 10월 3일 강화 238결에 대한 세금를 면제함.

1822년 3월 3일 송면재(宋冕載)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22년 3월 11일 예조가 강화부 고 유의태(劉義泰) 처 하씨를 열녀로 정표함.

1822년 10월 29일 재해를 입은 강화의 422결의 세금을 면제함.

1822년 11월 5일 열녀인 교동의 황상빈(黃尙彬)의 딸을 위해 정문을 세움.

1824년 1월 2일 신현(申絢)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25년 10월 3일 강화 백성들에게 절미 1500석을 나누어줌.

1826년 5월 1일 이광헌(李光憲)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27년 3월 1일 서유구(徐有즧)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30년 7월 2일 이약우(李若愚)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31년 9월 21일 홍명주(洪命周)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32년 10월 3일 재난으로 강화는 절미 3200석 등을 지급 받음.

1833년 5월 29일 강화백성에게 진곡 4242석을 나누어줌.

1833년 7월 1일 김기상(金基常)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33년 10월 29일 강화 백성에게 보리 2580석 등을 지급함.

1834년 6월 17일 김매순(金邁淳)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34년 6월 24일 강화의 기민 5만 5639명에게 곡식을 지급함.

1835년 6월 24일 교동에서 300호가 침몰되고 70여 명이 사망함.

1835년 8월 23일 이현영(李顯英)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36년 6월 19일 이관규(李寬奎)를 교동부사로 임명함.

1837년 4월 10일 구석붕(具錫朋)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38년 12월 10일 백은진(白殷鎭)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1년 4월 5일 서상오(徐相五)를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3년 12월 26일 김택기(金宅基)를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5년 2월 6일 심낙신(沈樂臣)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6년 2월 6일 오현문(吳顯文)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7년 6월 24일 김한철(金翰喆)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8년 7월 6일 이의식(李宜植)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8년 7월 22일 이규철(李圭澈)을 교동부사로 임명함.

1849년 3월 11일 김상우(金相宇)를 교동부사로 임명함.

1850년 3월 4일 황호민(黃浩民)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1년 8월 13일 교동의 무너진 집을 구휼함.

1851년 8월 13일 강화부의 무너진 집을 구휼함.

1852년 1월 1일 정덕화(鄭德和)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2년 2월 7일 이원달(李源達)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2년 12월 28일 홍우철(洪祐喆)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3년 3월 14일 정기세(鄭基世)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3년 12월 2일 이노병(李魯秉)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4년 10월 16일 김병국(金炳國)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4년 11월 5일 조연창(趙然昌)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5년 10월 12일 김한순(金漢淳)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6년 10월 14일 김영근(金泳根)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7년 3월 5일 강화유수 김영근(金泳根)에게 자헌(資憲)의 품계를 제수함.

1857년 4월 16일 이의익(李宜翼)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9년 1월 5일 조연흥(趙然興)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9년 3월 9일 윤행복(尹行福)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59년 6월 25일 조충식(趙忠植)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60년 9월 6일 이명적(李明迪)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62년 2월 26일 김동헌(金東獻)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62년 11월 6일 홍원섭(洪遠燮)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63년 11월 22일 정헌용(鄭憲容)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64년 8월 1일 어영청에서 강화유영의 은자 4000냥 중 1500냥을 대용함.

1865년 3월 10일 이인기(李寅夔)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65년 윤5월 30일 강화유수 이인기가 진보·돈대·군기고·행궁 등을 수리함.

1866년 7월 10일 오페르트(Oppert)가 강화에 들어옴.

1866년 7월 10일 상선 엠페리호가 교동부 서면 두산리 앞 바다에 정박함.

1866년 7월 11일 오페르트가 강화 월곶진 승천보에 정박하여 통상을 요구함.

1866년 7월 26일 강화에서 이양선과 밀통한 안춘득(安春得)을 처형함.

1866년 8월 15일 프랑스군함 데루레도호와 타리디프호가 염하를 통과함.

1866년 8월 16일 프랑스군함 2척을 방어하지 못한 이유로 강화중군 이일제(李逸濟)를 파직하고 역관 2명을 파견하여 프랑스군함를 퇴각시킴.

1866년 8월 27일 프랑스함대 사령관 로즈(Roze)제독이 강화해역에서 철수함.

1866년 9월 6일 프랑스군함 4척이 갑곶진에 닻을 내리고 제물진에 상륙함.

1866년 9월 7일 프랑스 해군중령 도스리가 해병을 이끌고 강화부를 정탐함.

1866년 9월 7일 훈련대장 이경하, 총융사 신관호에게 강변의 방어 강화를 지시함.

1866년 9월 8일 프랑스함대가 강화부성 점령하고 군기 세곡 은피 등을 약탈함.

1866년 9월 9일 강화부 방어에 실패한 이인기·이능회(李能會) 등을 파직하고 이장염(李章濂)·박희경(朴熙景) 등을 임명함.

1866년 9월 12일 프랑스군이 광성진에서 군물을 탈취하고 화약고를 폭파함.

1866년 9월 18일 프랑스군 120명이 문수산성을 점령함.

1866년 9월 21일 강화부 이시원(李是遠)·지원(止遠) 형제가 프랑스군 침입에 저항하다 약을 마시고 자결함.

1866년 9월 21일 프랑스군이 강화에 침입함.

1866년 9월 22일 프랑스군함 2척이 강화에 포격함.

1866년 10월 2일 천총 양헌수(梁憲洙)가 정족산성에서 프랑스군을 격파함.

1866년 10월 4일 천총 양헌수를 정족산성 승리의 공로로 한성부우윤에 임명함.

1866년 10월 5일 프랑스군이 강화부를 점령하여 서적과 문화재를 약탈 도주함.

1866년 10월 7일 강노(姜老)를 강화부위유사에 임명함.

1866년 10월 15일 강화부에 포수 500명을 주둔시킴.

1866년 10월 18일 강화 전투 때 단신으로 대항하다 전사한 이춘일(李春日)·조광보(曹光甫) 등을 증직함.

1866년 10월 30일 강화부의 환곡을 1/3로 탕감함.

1866년 11월 15일 강화 선두진을 혁파하고 정족산성으로 이전함.

1868년 4월 28일 외양선 침입에 대비하여 영종·교동에 봉화대를 설치함.

1871년 4월 24일 미국 아시아함대가 초지진과 광성보에 침입하여 진무중군 어재연(魚在淵)이 방어하였으나 전사하여 패배함.

1871년 4월 25일 미국 상륙군부대가 강화에서 철수함.

1871년 5월 3일 어재연에게 병조판서를 추증하고, 충장(忠壯)의 시호를 내림.

1871년 6월 2일 초지진·광성진의 민호에게 내탕전을 나누어 지급함.

1874년 3월 20일 강화연안 용진(龍津) 등 3진에 포대를 신설함.

1875년 8월 20일 강화 수병이 초지진에서 일본군함 운양호(雲揚號)와 충돌함.

1875년 8월 21일 운양호가 강화에 침입하였으나 수군의 반격으로 격퇴함.

1876년 1월 3일 일본군함 맹춘호(孟春號)가 강화 초지진에 정박함.

1876년 1월 4일 일본군 흑전청융(黑田淸隆)·정상형(井上馨)이 맹춘호를 타고 강화 부근에서 철수요구를 거부하고 측량을 실시함.

1876년 1월 11일 강화유수 조병식이 삼산무(森山茂) 일행을 접견함.

1876년 1월 15일 강화판관 박제근이 초지진 갑관진에 상륙한 일본인 100여 명에게 시탄 공급사실을 보고함.

1876년 1월 16일 이건구(李建九)를 참모사에, 최경선(崔敬善)을 별군관(別軍官)에 임명하여 강화에 파견함.

1876년 1월 17일 접견대신 신헌(申櫶), 부관 윤자승(尹滋承)이 강화 연무당에서 일본 흑전청융(黑田淸隆)·정상형(井上馨)과 회담을 시작함.

1876년 1월 18일 접견대신 신헌이 일본 변리대신 흑전청융과 강화부 집사청에서 담판함.

1876년 1월 30일 강화유수 조병식이 일본군 철수를 보고함.

1876년 2월 2일 일본이 운양호사건 구실로 강화도조약 체결을 요구함.

1876년 2월 3일 접견대관 신헌, 부관 윤자승이 강화 연무당에서 일본대표와 회동하여 전문 12조의 조일수호조규 조인.

1876년 6월 15일 일본인 3명이 강화영에서 상경을 요청함.

1876년 7월 6일 조약 보완을 위해 병자수호조규부록 조일무역규칙을 체결함.

1882년 11월 16일 강화유수 김윤식(金允植)이 원세개(袁世凱)에게 강화의 군사사항 자문을 요청함.

1884년 4월 3일 강화유수 김윤식이 신영병정(新營兵丁)을 설치함.

1884년 10월 29일 강화유수의 해방총관(海防總官) 겸직을 폐지함.

1887년 5월 13일 강화부에 병영을 설치함에 따라 친군심영(親軍沁營)이라 칭함.

1886년 10월 25일 민영규(閔泳奎)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88년 1월 30일 정낙용(鄭洛鎔)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89년 3월 24일 민병석(閔丙奭)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89년 11월 9일 민영준(閔泳駿)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90년 2월 15일 송세헌(宋世憲)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90년 3월 27일 조동면(趙東冕)을 강화유수로 임명함.

1893년 3월 18일 해연총제사(海沿總制使)가 강화유수와 진무사를 겸하게 하고, 민응식(閔應植)을 이에 임명함.

1894년 9월 28일 동학농민군 진압을 위해 강화영 병정 200명이 은진으로 출발.

1894년 10월 2일 강화유수가 동학교도 김원팔(金元八)의 처형 사실을 보고함.

1894년 12월 23일 신정희(申正熙)를 강화유수로 임명함.

1895년 4월 17일 이준용(李埈鎔)을 교동으로 유배보냄.

1895년 5월 26일 유수부를 폐지함에 따라 강화유수부는 강화군으로, 교동현은 교동군으로 변경되어 모두 인천부에 소속됨.

1895년 윤5월 1일 강화유수는 강화군수로 격하됨.

1895년 6월 12일 교동에 유배중이던 이준용을 석방함.

1896년 2월 4일 강화군공립소학교(현 강화초등학교) 설립

1896년 5월 22일 교동에 유배중이던 민영준과 민형식(閔炯植)을 석방함.

1896년 8월 5일 참령 장기염(張基廉)을 강화지방대 대대장으로 임명함.

So you have finished reading the 조선 시대 연표 topic article, if you find this article useful, please share it. Thank you very much. See more: 조선 후기 년도, 조선시대 왕, 한국 역사 연대표, 조선시대 기간, 조선 멸망 년도, 역사연표, 조선 역사, 조선역사 정리

Leave a Comment